2020~2040년 서울시 상수도관 약 3,074km 정비 예정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김재진 국민의힘 의원(영등포1)은 “노후 수도관 정비 시 사후 대응을 넘어 실시간 누수 감지 시스템 도입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김재진 시의원은 제330회 임시회의 서울아리수본부 업무보고에서 서울시 상수도관 정비사업의 실효성과 선제적 누수 대응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2020년부터 2040년까지 정비가 예정된 서울시 상수도관이 약 3,074km에 달한다”라며 “특히 30년 이상 된 노후 관로 중 안전진단 결과 위험등급 이하로 판정된 구간만을 중심으로 정비가 이뤄지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2024년에는 62.5km의 관로가 정비됐으며 올해는 89km의 정비가 계획돼 있다”라며 “정비 대상 선정 기준과 사후 관리 실태에 대한 명확한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김 시의원은 “현재 누수 대응체계가 주로 누수 발생 이후에 이뤄지는 사후적 조치에 치중돼 있다”라며 “누수 발생 이전에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 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회승 아리수본부장은 “과거 자료, 전문가 의견, 학회 보고서 등 간접평가와 유속 변화 감지센서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나, 직접 관측의 한계로 인해 정확도에 제약이 있다”라고 답변했다. 김 시의원은 도로균열 탐지에 사용하는 지표투과레이더(GPR) 등 신기술의 도입 가능성에 대해 질의하며 “실질적으로 상수도관 누수 예방에 효과적인 신기술 도입과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촉구했다. 이에 이회승 아리수본부장은 “GPR은 도로 하부 2~3m 범위 내 감지에는 유용하나, 상수도관이 더 깊은 곳에 매설된 경우 한계가 있다”라며 “조기에 누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시의원은 “서울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실질적 성과를 위해 상수도관 정비사업의 투명한 정보 제공과 선제적 누수 예방 기술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라며 “향후 관련 사업의 지속적인 성과평가와 관리 강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현 기자(redkims64@daum.net) |
포토뉴스
HOT 많이 본 뉴스
칼럼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