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결과는 서울시 국가유산 통합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화
서울시가 올해부터 3개년 계획으로 서울 곳곳에 자리한 261건의 지정문화유산에 대한 정기조사를 실시한다고 5월 15일 밝혔다.
시는 매년 정기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3년 주기로 전체 대상을 순차 조사하는 ‘전수조사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4차 정기조사(2025~2027)의 첫 해다. 기존 지정문화유산 218건에 새롭게 지정된 43건의 유산을 더해 역대 최대규모로 진행된다. 조사 대상은 유형문화유산 160건, 민속문화유산 28건, 등록문화유산 11건, 문화유산자료 25건, 기념물 28건, 자연유산 9건이다. 자치구별로 종로구(78건) 중구(26건)를 비롯, 성북구 등 다른 자치구에도 고르게 분포해 있다. 조사는 서울시 지정유산의 유형과 특성에 따라 맞춤형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찰과 같은 부동산유산은 사진촬영, 육안조사, 변위와 기울기 측정, 균열 측정 등 구조적 안전성을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그림 등의 동산유산은 재질별로 곰팡이, 해충·미생물 손상 등을 면밀히 조사한다. 자연유산은 식물, 지질 등 환경 특성에 맞는 종합조사가 이뤄진다. 시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보존 상태에 따라 A부터 F까지 등급이 매겨진다. 등급은 서울시 국가유산위원회의 전문가로 구성된 등급조정위원회의 검증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특히 3년 전 정기조사 사진과 올해 조사 사진을 병기해 변화 상태를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사 결과는 국가유산 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각 자치구에 전파해 체계적으로 자료를 축적하고 공유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정기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존상태가 취약한 문화유산에 대한 보수정비 계획을 수립하고, 시민들이 더 가깝고 쉽게 문화유산을 접하고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활용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경자인 서울시 문화유산활용과장은 “이번 조사는 우리 주변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미래 세대에 온전히 물려 주기 위한 ‘건강검진’과 같다”라며 “시민들의 자부심이 될 서울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는데 지정유산 소유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한다”라고 말했다.
배옥숙 공감기자 |
포토뉴스
HOT 많이 본 뉴스
칼럼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