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공무원 사칭 대리구매’ 피해주의보 발령
  • 입력날짜 2025-07-22 16:24:07
    • 기사보내기 
시 최소 9건 발생…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사기 주의 당부
▲공무원 사칭 사기 피해예방수칙
▲공무원 사칭 사기 피해예방수칙
서울시는 최근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사칭 사기 수법이 기승을 부림에 따라
‘공무원 사칭 피해주의보’ 발령을 내렸다.

서울시는 22일 시와 자치구 부서, 보건소 등을 대상으로 최소 9건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공무원 사칭 물품 대리구매 피해주의보’를 발령하고 주의를 당부했다.

해당 사기 수법은 공무원을 사칭해 업체에 물품구매를 대행해달라고 요청하고 물품 대금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한 뒤 연락을 끊는 방식이다.

공무원 사칭 피해는 7월 들어 청주시, 안양시, 의정부시, 화성시, 양양군, 광명시, 횡성군 등 지방자치단체와 경기소방, 충북소방, 강원소방 등 공공기관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또 수법 또한 점점 조직적이고 정교해지고 있다.

서울시가 시 공무원을 사칭한 피해사례 확인을 위해 긴급 실태조사를 한 결과 최소 9건이 확인됐다. 이 중 2건은 실제 금전 피해가 발생했으며 7건은 미수에 그쳤다.

서울시에서 확인된 사례를 살펴보면 실제 공무원의 발주 요청처럼 보이도록 위조된 명함, 발주서 등을 사용해 정상적인 거래처럼 꾸민 뒤 피해업체에서 취급하지 않거나 즉시 발주가 곤란한 물품에 대해 제3의 업체로부터 대리 납품하도록 유도한 후 납품대금을 계좌이체하도록 유도하는 수법이 가장 많았다.

서울시는 시민과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내선번호 확인 ▲발신처/공문 진위 확인 ▲절대 선입금 금지 ▲경찰 즉시 신고 등 ‘공무원 사칭 사기 4대 피해예방수칙’을 마련하고, 서울시 누리집과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연합회 등 유관기관을 통해 집중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앞으로도 공공기관 사칭 사기 수법의 고도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계기관과의 공조 및 시민 대상 홍보활동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김명선 서울시 공정경제과장은 “물품구매 대행이나 선입금 요구 등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으면 거래를 즉시 중단하고 서울시 공식 채널을 통해 진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정현 기자(redkims64@daum.net)
<저작권자 ⓒ 영등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보내기